본문 바로가기

건강한 호국정신/대한민국의 고도 성장과 발전3

#.3 초고속 경제성장의 요인 1. 자유민주주의와 시장 경제체제 선택 세계에서 가장 빈곤했던 대한민국 경제가 고속 성장을 통해 지금과 같이 융성할 수 있었던 근본적인 이유는 대한민국이 인간의 자유와 존엄성, 사유재산권을 보장하는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 체제를 채택한 데서 비롯되었다. 우리의 선택은 절대 빈곤의 악순환에서 탈출해 1960년대 초반부터 눈부신 경제적 성과를 끌어내며 오늘날 경제 대국으로 발돋움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되었다. 체제를 달리 선택한 북한의 현실과 비교해보면 이는 더욱 명확해진다. 건국 초기 대한민국보다 우위에 있었던 북한 경제는 1970년대 이후 몰락하였고 현재까지도 기아에 허덕이며 절대 빈곤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사유재산, 경제활동의 자유 등을 부인하는 공산주의 체제의 선택은 개인의 자유로운 경쟁과 자발적.. 2022. 5. 25.
#2. '잘 살아보자'는 일념으로 이룩한 고도 성장의 길 1. 1960년대 수출 주도형 산업화 전략의 추진 1960년대 정부 목표는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을 통해 수출 주도형 산업화를 달성하고 소비경제 체제에서 생산경제 체제로 전환하는 것이었다. 수출을 증대시키기 위해 미국, 일본 등 선진국에서 원료를 수입해 국내에서 가공한 후 수출하는 노동집약적 전략을 적극적으로 추진하였다. 이러한 정부의 수출 주도형 산업화 정책은 세계적인 무역 기조가 보호무역주의에서 자유무역주의로 전환되는 국제경제 환경에 힘입으면서 성공을 거두었다. 선진국 내 산업구조가 고도화되면서 근로자의 인건비가 상승하였고 이에 따라 선진국들은 후진국으로부터 노동집약적 공업제품을 수입하기 시작하였다. '수출만이 살길이다'라는 슬로건 아래 우리는 1964년 수출 1억 달러를 달성한 후 불과 7년 만인 1.. 2022. 5. 24.
#1. 전쟁의 폐허를 딛고 일어서다 일제 식민 통치와 6 · 25전쟁을 겪으며 지구촌 최빈국으로 전락한 대한민국은 '한강의 기적'을 일궈내며 오늘날 세계 경제 대국으로 급부상했다. 한강의 기적은 온 국민이 가난을 이기고자 혼연일체로 노력했던 불굴의 도전 정신과 희생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여기에 자립경제를 틀을 갖추고 대외지향적인 수출 주도형 산업화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했던 우리 정부와 기업가들이 있었다. 경제발전 과정에서 여러 차례 위기를 맞았으나 대한민국은 정부와 기업, 국민이 합심하여 이를 극복해내는 저력을 보여주기도 했다. 대한민국은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난 이후 독립한 국가 중 민주주의와 경제발전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는 데 성공한 대표적 국가이다. 그리고 원조받는 나라에서 원조를 주는 나라로 그 위상이 격상되었다. 이제 우리는 .. 2022. 5.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