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한 호국정신/한미동맹의 역사와 미래3

#2. 미래 지향적인 한미동맹 한미군사동맹은 지난 60여년 동안 북한의 군사적 위협을 억제하는 동시에 동북아지역의 안정에도 크게 기여하였다. 특히 대한민국이 폐허를 딛고 산업화와 민주화를 이룩하는 데 든든한 밑받침이 되었다. 그 어느 때보다 공고히 유지되고 있는 한미동맹은 이제 군사동맹을 넘어 포괄적 전략동맹으로 발전해 나가고 있다. 세계의 안보 위협이 복잡 · 다양해짐에 따라 평화와 안정을 위한 국제사회의 노력도 과거와는 다른 방식이 요구되고 있기 때문이다. 1. 한미동맹 공동비전 2008년 4월 중순 워싱턴에서 개최된 한미 정상회담에서 이명박 대통령과 부시 대통령은 한미관계를 기존의 ' 전통적 우호 관계'에서 '21세기 전략동맹'으로 격상시키기로 합의했다. 21세기 전략동맹이란 단순히 군사동맹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정치 · 경제.. 2022. 6. 11.
#2. 한미동맹의 중요성 "우리나라는 자신들이 알지도 못하는 나라, 만난 적도 없는 사람들을 지키기 위해 조국의 부름에 응한 우리의 아들과 딸들을 기린다." 이문구는 워싱턴 시내 한국전 기념공원의 '한국전 참전 기념비'에 새겨진 추모의 글이다. 6 · 25전쟁 단시 미국은 대한민국을 지켜내기 위해 사망 36,940명, 부상 92,134명, 실종 3,737명, 포로 4,439명 등 총 137,250명이라는 엄청난 희생을 감내했다. 6 · 25전쟁에 참전한 미군 중에는 아이젠하워 대통령과 클라크 유엔군 사령관의 아들 등 미 고위 인사 자녀들도 다수 포함되어 있었다. 특히 밴 플리트 미 8군 사령관의 아들 짐 뺀 플리트 중위는 적 지역을 포격하는 임무를 띠고 출격했다가 격추되어 전사했다. 이들은 공산 세력의 침략을 물리치고 대한민국의.. 2022. 6. 11.
#1. 한미 동맹과 국가 안보 미국의 6 · 25전쟁 참전과 희생에 뿌리를 둔 한미동맹은 1953년 한미상호방위조약을 체결한 이후 오늘에 이르기까지 지난 60여년간 대한민국의 안보의 핵심축이었다. 대한민국은 한미동맹을 바탕으로 굳건한 연합방위 태세를 유지함으로써 북한의 도발을 억제하는 데 성공하였음은 물론 역사상 가장 짧은 기간에 고도의 경제성장을 이룰 수 있었다. 한미동맹은 단순한 군사동맹이 아닌 오늘의 번영된 대한민국을 있게 한 원동력이었던 셈이다. 이제 한미동맹은 군사 · 안보에 국한되지 않고 경제 · 사회 · 문화 등 제반 분야의 협력 강화로 이어지며 더욱 공고해지고 있다. 19세기 영국의 정치가였던 팔 머 스톤(1784~1865)은 "우리에게는 영원한 동지도, 영원한 적도 없으며, 오로지 국가이익만이 있을 뿐이고, 그것을 추.. 2022. 6. 11.